보도자료
이터널, 한국 바이오·핀테크 첫 ‘인도 M&A 루트’ 개척
지미리 이사 – 메릴랜드주 전 장관, 발짓 싱어 노스베일 상관주관사 회장, 김영국 이터널 대표이사, 이원광 전략이사. 사진 = ㈜이터널
생체 인식 전문 기업 주식회사 이터널(대표 김영국·이상준)이 글로벌 투자·전략 컨설팅사 Northvale Capital Partner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인도 자본시장 진출을 위한 본격적인 협의에 돌입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Northvale은 인도와 아부다비 등지에서 기술·핀테크 분야 M&A 및 자본 확충을 주도해온 기업이다. 특히 이사회 의장 Baljit Singh 회장은 인도·싱가포르·호주·중동 등지에서 26년간 다양한 기업을 이끌며 증권거래소 및 브로커리지 운영에 전문성을 쌓은 글로벌 기업가로, 그의 폭넓은 네트워크와 시장 이해를 통해 이번 협력에서 이터널의 인도 자본시장 진입을 전방위로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인도는 약 1억 1,400만 개에 달하는 주식·파생상품 거래 계좌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시가총액이 한화 약 5,200조 원(USD $3.94 Trillion)에 달해 세계에서 5번째로 큰 주식시장으로 부상했다. 빠르게 성장하는 내수 투자 수요와 함께 글로벌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IPO 및 시장 진출의 전략적 거점으로 인도를 주목하는 이유다. 특히, 현재 인도에는 생체인식 원천 알고리즘을 직접 보유한 상장사가 전무하다는 것이다. 만약 이터널과 같이 원천 알고리즘을 보유한 기업이 M&A를 통해 인도 자본시장에 진입한다면, 시장의 기대치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정부는 UIDAI(인도 고유식별청)을 통해 아드하르(Aadhaar) 기반 디지털 ID 시스템을 빠르게 확장 중이며, 공공 복지·보조금·금융결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체인식 기술을 핵심 인프라로 삼고 있다. 이터널과 같이 독자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단순 하드웨어 제조를 넘어 플랫폼·서비스로까지 사업을 확장할 수 있어, 기술 독점성과 차별화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인도 생체인식 시장은 연평균 31%의 고성장률을 기록 중이며, 향후 모바일·IoT 센서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까지 열려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M&A를 통해 신속하게 자본시장에 진입하면 IPO 대비 규제 부담이 낮고 빠른 유동성 확보도 가능해, 글로벌 투자자들의 테마형 투자 수요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다.
이번 협약을 통해 이터널은 Northvale Capital의 아시아 및 중동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재무 구조를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게 고도화하고, IPO 전 단계 기업가치(Pre-IPO Value)를 획기적으로 높인 뒤 인도 자본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인도 시장에 한국 기업이 진출한 사례는 현대자동차 인도 법인 등 소수에 불과하며, 특히 바이오·핀테크 기반 기업으로서 이터널의 진출은 향후 한국 중견·스타트업이 인도 자본시장에 진입하는 데 중요한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터널 김영국 대표는 “세계 최대 인구와 IT 신흥 수요를 가진 인도 시장 진출은 단순한 해외 시장 진출을 넘어, 이터널의 핵심 기술인 지정맥 인식 시스템을 세계 표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결정”이라며 “특히 한국 중소기업이 인도 자본시장에 직접 진출하거나 현지 M&A를 통해 편입되는 것은 사실상 최초의 사례”라고 전했다.
한편, 이터널은 지정맥 기반 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한 PC 로그온 솔루션 및 하드웨어 월렛 개발로 주목받아 왔으며, 최근에는 UN ITU(국제전기통신연합)에 ONE ID 표준 보안 솔루션을 공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인도 진출을 기점으로 현지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는 한편, 인도를 거점으로 삼아 아시아는 물론 북미, 유럽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출처: 조선비즈 김승현 기자
https://biz.chosun.com/industry/industry_general/2025/07/10/FVXABN6J5RGAHLPYK2VXJVDS4I/?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