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기사

파키스탄, 의료 접근성 혁신을 위한 ‘원 페이션트, 원 ID’ 프로그램 출시

작성자
marketing
작성일
2025-04-30 11:17
조회
61

작성자: Ghulam Shabir Arain 보도일자: 2025년 4월 25일
출처: Biometricupdate.com

파키스탄이 의료 기록 관리 방식을 혁신하기 위한 역사적인 디지털 헬스 프로그램인 ‘원 페이션트, 원 ID(One Patient, One ID)’를 출범시켰다. 이 시스템은 개인의 컴퓨터화 국민신분증(CNIC)을 영구적인 의료 기록(MR) 번호로 활용하여 전국 어디서나 의료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보건부와 국가 데이터베이스 등록청(NADRA)이 공동으로 추진한 것으로, 통합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의료 서비스로 나아가는 중요한 발걸음을 의미한다.

통합 의료 신원의 이점

최근까지 파키스탄의 의료 시스템은 통일된 환자 식별 시스템이 없어 기록이 단편적으로 관리되고, 반복적인 진단과 비효율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여러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은 중앙 기록이 없어 매번 처음부터 절차를 다시 밟아야 했다. 이번 ‘원 페이션트, 원 ID(One Patient One ID)’ 프로젝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며, 개인의 CNIC(컴퓨터화 국민신분증)를 영구적인 의료 기록 번호로 활용하게 되었다. CNIC 기반 신원 체계로의 전환은 환자를 의료 시스템의 중심에 두고, 일생 동안 일관된 의료 기록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전국 어디에서나 신속하고 정확한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무스타파 카말(Mustafa Kamal) 연방 보건부 장관은 NADRA와의 협력에 대해 지지 의사를 표하며, 이번 조치가 의료 서비스 개선의 기반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보건부 장관은 의사와 약품이 환자 가정으로 직접 제공될 것이며, 현재 환자 70%를 담당하고 있는 대형 3차 병원의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디지털 혁신은 지역 밀착형 진료를 촉진하여, 파키스탄 전역에 걸쳐 의료 서비스 제공을 더욱 효율적이고 공평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고 익스프레스 트리뷴(Express Tribune)은 보도했다.

또한, 압둘 바싯(Abdul Basit) 교수 등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통합적이고 근거 기반의 의료, 그리고 만성질환 관리 향상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했다. 그는 당뇨병과 고혈압처럼 조기 발견이 어려운 만성 및 잠복 질환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이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의료진은 환자의 일생 동안 단일한 의료 신원을 통해 이러한 질환을 더욱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국가적 중요성과 이해관계자의 목소리

압둘 바싯(Abdul Basit) 교수는 통합된 접근 방식이 환자와 의료 전문가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한다고 덧붙이며, 일관성과 투명성을 제공함으로써 CNIC를 신뢰받는 연결형 진료의 상징으로 탈바꿈시킨다고 설명했다. ‘원 페이션트, 원 ID(One Patient One ID)’ 시스템을 통해 의료 데이터를 CNIC에 연결하는 것은 환자와 의료 제공자 모두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파키스탄 전역의 의사들이 환자의 이전 진료 이력을 어디에서 받았든 전체 의료 기록을 열람할 수 있게 하여, 진료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이는 의료 기록상의 불필요한 반복을 제거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또한, 이 이니셔티브는 실시간 데이터 기반 건강 등록부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근거 기반 정책 수립, 질병 감시, 표적 개입 등 국가 보건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환자에게 부여된 신원은 원격 진료를 통한 포괄적 의료 서비스의 문을 열어준다. 생체인증을 통한 디지털 신원이 확인되면, 특히 농촌이나 의료 소외 지역의 환자들도 도시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으로 상담과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보건연구자문위원회(Health Research Advisory Board, HealthRAB)는 이를 “의료 데이터 거버넌스의 역사적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이해관계자들은 CNIC를 보편적 의료 디지털 신원으로 선언함으로써 파키스탄이 보다 통합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치료로 나아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전환은 또한 보건 의료의 분권화와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한 공공 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파키스탄 정책(Digital Pakistan Policy)’의 광범위한 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인도의 교훈

파키스탄은 인도의 아유슈만 바라트 디지털 미션(Ayushman Bharat Digital Mission)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인도는 환자 기록을 통합하기 위해 고유한 디지털 건강 ID(ABHA)를 도입했다. 인도의 전략은 자발적 참여, 환자의 동의, 강력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조함으로써 대중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공공 및 민간 공급자 간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과 단계적 도입 방식을 중시하여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했다. 더불어,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 및 일선 의료 종사자 교육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참여를 유도했다. 파키스탄이 CNIC를 의료 정보에 연결하는 과정에서도, 이와 유사한 기준을 적용하면 단순한 기술적 성공을 넘어, 윤리적이고 공정한 디지털 헬스케어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과제와 가야 할 길

‘원 페이션트, 원 ID(One Patient One ID)’ 접근 방식은 큰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존재한다.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고, 농촌 지역으로의 도입을 확대하며, 의료 인력에게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모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건강 정보를 검증 가능한 국가 신분증(CNIC)과 연결함으로써, 파키스탄은 보다 평등하고 효율적인 의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지리적 위치나 사회경제적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이 품위 있는 연속적인 의료 서비스를 디지털 권리로서 누릴 수 있는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